안녕하세요 방쌤입니다.
어느덧 세번째 수업을 했는데요,
이번시간은 토요일 2시에 모여 연습을 하였습니다.
조금 더 자신의 연기에 빠져 보는 시간이 되었는데요,
제 개인적으로는 .. 이 친구들이 원래 연기를 잘 하는 사람들이었다고 느낄만큼
좋은 연기를 접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그래도 우리의 갈 길은 멀기에 앞으로도 계속 노력해야겠죠?
연습실에서 리딩하는 모습.
먼저 숙제로 영화의 한장면 준비해서 오라고 했다.
자신이 하고 싶은 연기. 대본으로 준비해 오기.
영화든 드라마든 한장면을 선택해서 대본으로 만들어 오라고 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준비하면서 작품의 전체를 보기 때문이다.
선생님이 대본을 준비해 주면 학생들이 편할 수는 있으나
앞뒤 맥락을 모르거나 이해하기 힘든 상황에서
대본을 접할 수 있다. 그러면 연기하기가 힘들어 진다.
앞뒤 상황. 전체이야기. 이 케릭터가 처한 상황을 정확히 알지 못하면
좋은 연기를 하기 힘들다. 이게 작품 분석이라는 것인데
내가 작가가 아닌 이상 짧은 단문을 보고 모든 사항을 상상한다는 것은 프로들도 힘든 일이다.
항상 전체를 보는 훈련이 필요한데
각자 자신이 하고 싶은 작품과 케릭터를 직접 선택해서 대본화 시켜오다보면
자연스럽게 훈련이 된다.
앞으로도 자기 연기 대본은 자기가 준비 하기를 할껀데, 한두번 선생님이 대본을 준비 할때가 있을 것이다.
그때는 그야말로 시험 보듯이 연기를 하게 될 것이다.
나의 모든 수업은 녹화를 한다.
자신의 연기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연기는 외워서. 액션을 한다.
처음에는 대사가 익숙하지 않으니 대본을 들고 한다.
하지만 반복되는 연습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대본을 놓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연기에 빠져드는 경험을 하게 된다.
자기가 자신을 느끼는 순간을 만나게 된다.
그리고는 신기한 경험을 했다고 모두 똑같이 얘기한다.
하지만 안타까운것은 유달리 '성우지망생'에게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것은 대본속에 갖혀있는 연기만 경험했다는것을 반증하는 이야기일 것이다.
내가 늘 강조하는것은 대본은 컨닝도구, 참고 하는 것이다.
대본을 계속 들고 연기한다는 것은 벽에 대고 연기하는 것과 비슷하다.
대본과 멀어 질수록 자기 연기가 보일 것이다.
이 개념이 익숙해 진다면 마이크 앞에서 더 다양한 연기를 펼칠수 있을 것이다.
질문.
자신의 경험을,,(연기할때) 감정으로 꺼내는 빠른 방법이 있나요?
자신의 경험은 재료다.
캐릭터의 감정을 이해하기 위해 자신의 경험에서 그 감정을 끌어 올릴때 하나의 재료라는 생각으로
더 연기스러운 장면으로 재창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음식을 만들때 설탕이 맛있다고 해서 설탕을 잔뜩 넣으면 과하게 달 것이다.
그것처럼 자신이 경험한 감정을 100퍼센트 투영시커려고 한다면
오버된 연기를 할 가능성이 커진다.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할 것은 이 작품속에서 이 케릭터가 느꼈을 감정을 관객에게 공감 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자신이 경험한 감정을 끄집어 낼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을 길잡이로 새로운 연기로 창조해 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전체 상황과 케릭터가 대화하는 상대와의 관계에 집중한다면
감정을 표현하기가 좀더 쉬워 질 것이다.
오늘 한 친구의 연기 상황은 와이프에게 애원하는 장면 이었다.
이 감정을 연기하기 위해 본인의 경험을 하나 꺼내야 했었는데.
과거 여자친구와 싸웠던 장면을 재료로 사용했다.
지금의 연기 장면과 과거 여친과 싸운 장면은 비슷한 감정이 존재했다.
첫 시작점을 그때의 감정으로 가려는 노력을 했는데,,
반복적으로 접근하니. 와이프에게 애원하는 장면이 새롭게 창조 되었다.
본인 스스로도 어느순간 새로운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고 신기해 했다.
어찌 되었든 이친구는 자신의 연기를 창조 한 것이다.
온전히 자신의 감정을 느끼고, 다른 이들의 공감을 얻어냈기 때문이다.
이 복잡한 상황들을 글로 표현한다는게
본질적인 이야기들이 잘 전달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감안하고 봐주시길 ^^
연기자들이 자신의 연기를 표현하기 위해 얼마나 연습을 할까?
성우 지망생들은 시험대본(단문)을 하나 소화하기 위해 얼마나 연습 할까?
연극은 한편 올라가는데 평균3개월정도 걸린다.
영화는 짧게는 한달에서 길게는 1년정도 케릭터 연구가 들어간다.
연기를 연구하는 과정은 연출과 작가,상대 배우, 같은 작품에 참여하는 배우들과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낸다. 술을 마시면서 작품이야기, 케릭터 이야기로 밤을 새는 경유도 많다. 그만큼 작품속에 빠져서 연기를 연구한다.
그에 반해 성우공부를 하는 사람들은??
작품을 함께 만드는 상황이 된다면 늘 작품에 대해 고민하고 연구하겠지만,
학원에서 배우는 소위'단문'이라는 대본을 가지고 몇달 동안 연구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나의 경험으로는 여러가지 단문을 공부하면서 1주일에 한번씩 새로운 단문으로 스터디를 했었다.
아마도 하나의 단문으로 한달이상 공부하는 분들이 많지는 않을 것이다.
작품분석은 시간이 오래걸리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에게 케릭터가 들어오는 시간도 오래 걸린다.
이런 사전지식이 없다면
공부를 하면서 '좌절'이라는 것이 빨리 올 수 있다.
원래 오래 걸리는 것인데, 당장에 안되고 지적만 당하니 자신의 한계를 빨리 느끼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다양한 경험을 한 프로들도 짧은 문장 표현을 힘들어 한다.
하지만 어느정도 가능한 이유는 긴 호흡의 작품을 많이 접해 봤기 때문에
단문속의 케릭터와 상황연기를 빠르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앞으로 단문으로 공부하더라도 원래 힘든 것이다 라고 인식하고 공부하길 바란다.
하지만 전체를 볼 줄 안다면 그리 어렵지 않은 것 이라고 생각하시길 바란다.
자신의 연기 하나를 오랜시간 연구해 보길 권한다.
그렇게 하다보면 남들과 차별화된 자신만의 케릭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폭넓은 의미에서 연기는 예술이다.
예술은 창조다.
나의연기는 내가 창조하는 것이다.
자신의 연기를 창조하는 멋진 예술가들이 되길 바란다.
수업이 거듭 될 수록 느끼는게 많아서
이곳에 모두 기록하고 싶지만 .. 정말 쉽지 않다.
필력도 문제 거니와 의도와 다르게 비춰질 수도 있겠다는 우려도 있다.
그래서 내가 가능한 정도만 적게 될 것이다.
'나를 바로 세워야 성우가 된다'
인플로우의 철학으로
행복한 성우를 만들어 간다.
현재 남자3명이다.
새로운 맴버로 여성분 세분정도 들어오시면
더 멋진 연기에 도전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새로운 방식으로 성우시험에 도전 하고 싶은분들은
용기를 갖고 연락 부탁드린다. ^^
수업분위기를 조금 보여드리고 싶어서,, 수업내용 녹음한거 짧게 들려드립니다.~
첨부된 파일을 확인하세요~
#성우학원#발성#발음#인플로우#성우방우호#성우수업#연기수업#성우가되려면#성우되는법#성우